클리닉센터

베스트안재활요양병원 클리닉센터입니다.

  퇴행성질환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성분중에서 연골과 주위골에 퇴행 변화가 나타나서 생기는 관절염으로,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슬)관절, 엉덩이(고)관절 등에 심한 통증과 운동장애를 나타내며,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관절의 변형까지 초래하는 가장 흔한 관절 질환입니다.

단순한 노화현상만이 아닙니다.

골관절염의 원인은 과거에는 단순히 노화 현상으로만 생각하였으나 실제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연령, 종족, 성별, 유전적 성향, 비만, 관절의 모양, 호르몬 등 1가지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여 병의 심한 정도와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직접적인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일차성 골관절염으로, 유전적인 경향도 거의 없습니다.

골관절염의 환자 수는 전 인구의 10-15%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50세 이상의 여성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가족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30-40대에 증상이 나타나고, 심지어는 20대부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과의 차이점

골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류마티스 관절염은 혈액검사 및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통해서 병의 진단이 가능하지만 골관절염은 혈액검사 등의 면역학적인 검사는 모두 정상소견을 보이며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나타나는 관절이외의 증상(임파선염, 각막염, 폐침범, 신경염, 빈혈소견 등)을 나타내지도 않습니다.

또한 주로 침범되는 부위도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가락이나 발가락과 같은 작은 관절을 주로 침범하지만 골관절염은 무릎관절과 엉덩이 관절, 손가락의 끝마디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증상이 심해지는 시기도 아침에 주로 통증을 호소하는 류마티스 관절염과는 달리 오랫동안 사용한 뒤에 나타나므로, 대개는 저녁시간이나 잠자기 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의 초기에는 쉬면 통증이 없어지지만 병이 진행되면 지속적인 통증이 오게되며 관절운동에도 제한을 받게 됩니다. 특히 보행과 관련된 무릎관절이나 엉덩이관절을 침범했을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서 수술적인 치료가 요구될 만큼 심한 변형이 초래되기도 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이 2, 3년내에 급속도로 병이 진행되어, 심한 변형을 초래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개는 수년 또는 몇 십년에 걸쳐서 서서히 진행되며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 변형을 얼 마든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골관절염 환자의 치료 목표

첫째는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둘째는 환자가 일상 생활을 수행하는 데 있어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이고, 셋째는 환자에게 부담이 적으면서 효과가 좋은 약물을 환자 개개인에게 맞추어 찾아 적절히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골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시점에서의 목표는 현재 남아 있는 물렁뼈와 관절 기능을 되도록 오래오래 현재대로 보존하는 것입니다.

물론 병을 묵힐 대로 묵혀서 의사에게 보일 시점에 관절이 거의 남아 있지 않는 경우는 어쩔 수 없습니다. 많은 만성 질병이 그렇듯 골관절염의 치료도 약보다는 일상 생활의 건강 수칙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할 때가 많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체중 조절입니다. 체중이 단 5킬로그램만 빠져도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이 현저히 느려진다는 보고들도 있습니다. 운동도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많은 연구 결과들이 하지 근력이 강화된 환자에서는 골관절염의 진행이 느려지고 통증도 훨씬 덜해진다는 것을 밝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 근력의 강화에는 자전거 타기, 평지 걷기, 수영 등의 운동이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물렁뼈를 정상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약은 아직 없습니다. 따라서 골관절염에 쓰는 약들의 주요 성능은 얼마나 관절통을 잘 잡느냐 하는 것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약물은 타이레놀계의 진통 효과만 있는 약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라고 하는 염증 억제·진통 작용을 모두 갖는 약의 두 종류로 나누어집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골관절염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관절염에서도 두루 쓰이는 류마티스 질환의 치료에는 아주 중요한 약물군 인데 매우 다양한 종류가 나와 있지만 환자 개개인에 따른 효과와 부작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선택에는 전문의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타이레놀 류의 약물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보다는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어떤 환자에서는 타이레놀보다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효능이 월등하게 낫기 때문에 약제의 선택은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맞추어 나가야 합니다.

협력의료기관